대규모 공격의 위험성은 실존하고 있으나 우리 모두는 자신을 준비하고, 스스로를 보호하고, 다른 사람들을 돕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대규모 공격이란 무엇인가?
공격자:
• 군중을 공격하기 위해 무기 사용
• 실내 및 실외의 보호가 약한 공간 대상
• 다수의 피해자를 해칠 의도
• 위협하기 위한 공격
• 임시 무기나 현대식 무기를 사용하기도 함
대규모 공격의 유형
• 총기난사: 총기를 이용해 대규모 사상자를 내는 사람
• 고의적 차량 공격(IVA): 차량을 이용해 대규모 사상자를 내는 사람
• 즉석 폭발 장치(IED): 사제폭탄을 이용해 대규모 사상자를 내는 사람
• 기타 대규모 공격 방법으로는 칼, 화재, 드론, 기타 무기 이용을 들 수 있다.
대규모 공격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 경계태세 유지
• 안전 도모
• 숨기
• 방어하기
• 부상자 돕기
특이사항을 보면 알리기
의심스러운 행동, 물건, 활동을 당국에 보고한다.
위험 징후 지켜보기
위험 징후에는 비정상적이거나 폭력적인 의사소통, 분노 표현, 해를 끼치려는 의도, 약물 남용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위험 징후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주변 환경에 주의하기
주변 상황을 관찰하고 문자 메시지, 헤드폰 듣기, 휴대전화 사용과 같이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피한다.
출구 계획 세우기
출구를 확인하고 직장, 학교, 특별 행사와 같이 자신이 가는 장소의 보호 구역을 확인한다.
보호막 탐색 계획 세우기
보호막을 찾을 장소를 정한다. 견고한 물체, 벽, 잠긴 문을 보호막으로 이용해 자신과 위협 사이에 장벽을 만든다.
목숨을 살릴 수 있는 기술 배우기
You Are the Help Until Help Arrives나 지원이 도착하기 전에 부상을 입은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응급처치에 관한 훈련을 받는다.
대규모 공격의 위험에서 안전을 유지하는 방법
지금 준비하기
주변 환경에 주의하고 특이사항을 보면 알리기
다음과 같은 위험 징후를 지켜본다.
• 비정상적이거나 위협적인 의사소통
• 직장, 개인, 혹은 기타 문제와 관련된 불만사항 표현
• 폭력을 조장하는 사상
• 보안 세부 사항에 대한 과도한 질문이나 관심을 갖는 등의 의심스러운 행동
• 비정상적인 물건 혹은 꾸러미
출구와 숨을 곳 파악하기
• 새로운 장소를 방문할 때, 적어도 두 개의 가까운 출구를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다.
• 직장, 학교, 야외 행사 등과 같은 익숙한 장소에서 공격이 발생했을 때 숨어서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장소를 파악한다.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대비하기
• 부상자 치료, 심폐소생술, 응급처치 등의 기술을 익히고 연습한다.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도 가르쳐준다.
• 집, 학교, 직장처럼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안전 훈련을 만들고 참여한다.
테러 중 살아남기
경계태세 유지
• 공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주의를 기울인다.
• 접근 가능한 탈출 경로가 있을 경우 다른 사람이 따르기로 동의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해당 건물이나 구역에서 대피를 시도한다.
숨기
• 대피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공격자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숨을 장소를 찾고, 가능하면 자신과 공격자 사이에 견고한 장벽을 둔다.
• 조용히 있는다.
방어하고, 방해하고, 싸우기
• 도망치거나 숨을 수 없을 경우에는 마지막 수단으로 공격을 방해하거나 공격자를 무력화한다.
• 공격적으로 행동하고 자신의 움직임에 집중한다.
부상자 돕기
• 자신의 안위를 먼저 신경 쓰고, 가능하면 부상자들이 안전해질 수 있도록 도와주고, 즉시 응급처치를 한다.
테러 중 안전 확보
9-1-1에 전화하기
• 안전하게 전화를 걸 수 있을 경우, 9-1-1로 전화를 걸어 사고 위치, 부상자 수, 공격자에 대한 자세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인명 구조 지원 지속하기
• 가능하다면 응급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계속해서 부상자를 보살핀다.
법 집행 기관이 도착할 때
• 침착하게 지시에 따른다.
• 손을 비우고 손이 보이도록 한다.
• 지정된 곳에 보고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받는다.
의사소통 모니터링하기
• 법 집행 기관의 메시지를 통해 상황에 대한 정보를 듣는다. 새로운 정보를 가족 및 친구와 공유한다.
전문가의 도움 요청 고려하기
• 자신의 건강에 유의한다. 필요하다면 자신과 가족들이 트라우마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구한다.